💰 서울세관, 외국인 밀집 지역 환전소 19곳 동시 단속
서울본부세관은 지난 10월 29일, 외국인 유동이 많은 주요 지역의 우범 환전소 19곳을 대상으로 특별 단속을 실시했다.
그 결과 4곳에서 위챗페이(WeChat Pay) 등을 이용한 불법 환치기 송금 행위가 현장에서 적발됐다.
또한 16곳에서는 외국환거래법 및 특정금융정보법 위반 사실이 확인돼 행정 조치가 예고됐다.
서울세관은 이번 점검을 시작으로 향후 3개월간 전국 단위 환전소 특별단속을 실시할 예정이며,
단속 대상에는 불법 외환 거래, 자금세탁, 무등록 가상자산 거래 행위 등이 포함된다.
현재 서울세관 관할 환전업체는 761개소로 전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 위챗페이 통한 불법 송금 현장 적발
단속 과정에서는 한 환전소 대표가 현금 수취 후 위챗페이로 송금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일부 환전소는 외국인 지인 명의로 사업을 운영하거나,
고객이 실제로 국내에 체류하지 않은 기간에 환전이 이뤄진 것처럼 장부를 조작한 사례도 다수 발견됐다.
서울세관은 불법 송금이 확인된 환전소에 대해 범칙조사에 착수하고,
자금세탁 연루 정황이 드러나면 송금 의뢰인까지 수사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허위 장부 작성, 명의대여, 신고 의무 위반이 확인된 환전소에는
영업정지나 과태료 부과 등 행정 처분이 내려질 예정이다.
🚨 상반기만 30곳 적발… 816억 원 규모 불법 송금 수사
서울세관은 올해 2월 ‘환전소 단속 전담반’을 신설해 상시 점검 체계를 강화했다.
상반기에는 고위험 환전소 78곳을 집중 조사한 결과,
30개 업체에서 외국환거래법 위반 행위가 적발됐다.
이 중 3개 업체는 무등록 외환업무로 816억 원 규모의 불법 송금 혐의가 드러나
검찰에 송치됐으며, 추가 3개 업체 역시 수사 중이다.
🗣️ 관세청 “전자화폐 통한 불법 송금, 고도화 추세”
조한진 서울세관 조사2국장은 “위챗, 비트코인 등 전자화폐의 확산으로
국경 간 불법 송금 수법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면서
“환전소가 범죄 자금 세탁 창구로 악용되지 않도록 상시 단속 체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광선 관세청 외환조사과장은 “서울세관의 단속 모델을 전국으로 확대해
11월부터 3개월간 전국 일제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요약 정리
| 구분 | 내용 |
|---|---|
| 단속 일시 | 10월 29일 |
| 대상 지역 | 외국인 밀집 지역 환전소 19곳 |
| 적발 내용 | 4곳 불법 환치기, 16곳 법 위반 |
| 향후 계획 | 전국 3개월간 집중 단속 (불법환전·자금세탁·가상자산 거래 포함) |
| 상반기 성과 | 30곳 적발, 816억 원 규모 불법 송금 확인 |
| 핵심 메시지 | 전자화폐·가상화폐를 활용한 신종 불법 송금 단속 강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