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9월 28, 2025
Google search engine
Home가상화폐 뉴스네이버, 업비트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웹2와 웹3의 결합 본격화

네이버, 업비트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웹2와 웹3의 결합 본격화

네이버,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웹2와 웹3의 결합 본격화

네이버가 두나무를 자회사로 편입하며 국내 금융·가상자산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네이버가 가진 핀테크 기술력과 두나무의 블록체인 인프라가 맞물리면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부터 결제·송금·유통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될 전망이다.

웹2와 웹3의 만남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주요 화두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웹2)와 블록체인 생태계(웹3)의 융합이다. 페이팔이 결제앱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고, 블랙록이 토큰화 펀드를 선보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네이버와 두나무의 결합은 국내에서도 이런 흐름을 반영한다. 네이버페이라는 전자금융 플랫폼과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협력은 한국형 웹2-웹3 통합 모델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양측은 이번 합의를 통해 글로벌 경쟁자인 페이팔, 스트라이프, 코인베이스와 직접 맞붙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장기적으로는 비자·마스터카드 중심의 기존 금융 인프라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비트 상장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인프라 시너지

네이버페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두나무는 이를 자체 블록체인인 ‘기와(GIWA)’를 통해 유통시킬 수 있다. 이후 업비트에 상장해 국내외에서 쉽게 거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네이버가 보유한 인공지능(AI) 기술과 결합하면 자산 관리·투자·결제까지 아우르는 올인원 금융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두 기업의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테더(USDT)와 서클(USDC)가 달러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대기업과 가상자산 1위 거래소의 협력은 의미가 크다.

지배구조 해석은 분분

다만 이번 포괄적 주식교환을 두고 지배구조에 대한 해석은 갈린다. 공식적으로는 네이버페이와 업비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이지만, 두나무의 기업가치(약 13조 원)가 네이버파이낸셜(3~5조 원)을 크게 웃도는 만큼 송치형 두나무 의장이 네이버페이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두나무가 직접 금융업에 진출하기 어려웠던 점을 네이버페이와의 결합으로 우회적으로 달성했다고 보고 있다. 반면 네이버가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전자상거래 기반 결제 시스템을 두고 있는 만큼, 두나무에 네이버페이의 주도권을 내주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전문가들은 양측 모두 실리를 취할 수 있는 구조로 보는 분위기다. 강형구 한양대 교수는 “이번 합병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네이버에 더 유리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미국 상장 가능성도 주목

이번 거래를 계기로 두나무의 미국 증시 상장설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AI, 간편결제를 모두 갖춘 거대 플랫폼으로 몸집을 불려 상장 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다.

두나무 경영진은 지난 3월 주총에서 “아직 확정된 계획은 없지만, 언제든 상장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잡초
잡초https://africa50lyon.org
잡초처럼 살고 있는 헬조선 독거노총각
RELATED ARTICLE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

Most Popular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