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억 원대 주가조작 적발…합동대응단 첫 사례
종합병원과 대형학원을 운영하는 일부 자산가들이 거액의 주가 조작에 가담했다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주가조작은 반드시 패가망신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낸 이후 드러난 첫 번째 사건입니다.
의도적인 주가 부양 정황
문제가 된 기업은 섬유와 알루미늄 사업을 하는 코스피 상장사 DI 동일입니다.
지난해 초 2만 원대였던 주가는 연말 5만 원을 돌파하며 두 배 이상 치솟았지만, 올해 들어선 급등락을 반복해 왔습니다.
한 개인투자자는 “자사주 매입 영향으로 오르는 줄 알았는데 최근 들어 급락해 이유를 찾기 어려웠다”고 토로했습니다.
금융 전문가까지 가담
검찰 조사 결과, 이 사건에는 종합병원·대형학원 운영자들을 비롯해 상호금융사 현직 지점장과 자산운용사 전·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이 결탁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목표로 삼아 1천억 원 넘는 자금을 투입, 서로 주고받는 통정매매를 반복하며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그 결과 매수 물량이 전체 거래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시장을 장악했고, 실제로 챙긴 이익은 약 230억 원, 아직 실현되지 않은 평가이익까지 합하면 400억 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합동대응단 “원스트라이크 아웃”
이번 사건은 대통령 지시에 따라 출범한 **‘주가조작 합동대응단’**이 다룬 첫 사례입니다. 당국은 강력한 처벌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승우 합동대응단 단장은 “부당이득의 최대 2배 과징금, 금융상품 거래·임원 선임 제한 등 신규 제재를 적극 적용해 ‘원스트라이크 아웃’ 본보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합동대응단은 관련자들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계좌를 동결하는 등 고강도 수사를 진행 중입니다.
회사 측 입장
주가조작 사실이 알려지면서 DI 동일 주가는 하한가로 곤두박질쳤습니다. 회사는 대표이사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당사는 주가조작의 피해자”라며 “주주 보호를 위해 필요 시 수사 당국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