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10월 2, 2025
Google search engine
Home금융 뉴스반도체 사이클 기대감에… SK하이닉스·삼성전자 동반 상승

반도체 사이클 기대감에… SK하이닉스·삼성전자 동반 상승

반도체 사이클 기대감에… SK하이닉스·삼성전자 동반 상승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가 커지면서 SK하이닉스(000660)와 삼성전자(005930) 주가가 다시 오름세를 타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호재뿐 아니라 D램·낸드까지 초호황 국면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 더해지며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이 두 기업의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3.71%(1만 2,500원) 오른 34만 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전자 역시 1.08%(900원) 상승한 8만 4,2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각각 852억 원, 881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도 579억 원, 815억 원어치를 담으며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외국인 매수세 ‘뭉칫돈’ 유입

이달 들어 외국인 매수세가 두드러진다. 1일부터 29일까지 외국인은 SK하이닉스를 1조 4,386억 원, 삼성전자를 4조 8,203억 원 순매수했다. 이는 지난달 SK하이닉스를 289억 원 매수하는 데 그치고 삼성전자를 1조 1,639억 원 순매도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그 결과 두 종목은 9월 한 달 동안 SK하이닉스가 29.74%, 삼성전자가 20.80% 상승하는 강세 흐름을 보였다.


JP모건 “HBM4, 공급 제약으로 프리미엄 유지”

JP모건은 지난 25일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기존 36만 원에서 46만 원으로 높이며 아시아 메모리 업종 내 ‘톱픽(최선호주)’으로 선정했다. 삼성전자 역시 차선호주로 꼽으며 목표가를 6만 8,000원에서 10만 원으로 올렸다.

JP모건은 “2026년 HBM3E는 공급과잉으로 가격 압박을 받을 수 있으나 HBM4는 제한된 공급으로 약 35%의 가격 프리미엄이 형성될 전망”이라며 “HBM4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약 9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SK하이닉스가 기술력과 공급 능력 모두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했다.


D램 수요도 긍정적 전망

메모리 반도체 전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AI 애플리케이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뿐 아니라 스마트폰, PC 등 에지 디바이스에서도 메모리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며 “AI 스마트폰은 기존 세대보다 D램 탑재량이 많고, 윈도10 지원 종료와 AI PC 도입 확산도 메모리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잡초
잡초https://africa50lyon.org
잡초처럼 살고 있는 헬조선 독거노총각
RELATED ARTICLE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

Most Popular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