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이 코스피가 1985년 이후 약 40년 만에 본격적인 강세장 국면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최근의 단기 조정 흐름은 상승 추세 중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숨 고르기 단계일 뿐이며, 상승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 “조정은 대세 상승 속 휴식 구간”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강세장에서도 조정은 반드시 나타난다”며
“과거 세 번의 강세장에서도 ‘상승 후 약 200일 시점’에 단기 하락이 공통적으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
1998~1999년 강세장 동안 22% 조정 이후 코스피는 약 두 배 상승
-
이번 조정도 중장기 상승 흐름을 되돌릴 이벤트가 아니라는 판단
💡 “AI 버블 논란? 아직 이르다”
최근 시장 일각에서 제기되는
‘2025년 AI 산업 → 1999년 닷컴버블 재현’ 주장에 대해서는 무리한 비교라고 선을 그었다.
| 구분 | 1999년 닷컴버블 | 2025년 AI 산업 |
|---|---|---|
| 통화·재정 환경 | 긴축 + 금리 인상 | 완화 정책 지속 |
| 기업 평균 PER | 약 60배 | 약 30배 (절반 수준) |
| 산업 성숙도 | 인터넷 확산 초기 | AI 공개 후 고작 3년차 |
김 본부장은 AI를
PC → 스마트폰 → 그 다음 단계의 세 번째 IT 대전환으로 규정하며
“AI 산업은 이제 막 성장 궤도에 진입한 초기 국면”이라고 강조했다.
🎯 내년 코스피 목표: 5000, 강세 시나리오는 최대 7500
KB증권은 기본 시나리오에서 코스피 목표지수 5000을 유지했다.
여기에 강세장 흐름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
최대 7500 도달 가능
-
시점은 빠르면 2025년 말, 늦어도 2027년 상반기
으로 전망했다.
🚀 상승의 핵심 동력
-
‘3저(저금리·저유가·저환율)’ 국면 진입
-
반도체·전력 중심의 기업 실적 반등
-
내년 코스피 영업이익 401조원 예상 (36% 증가, 사상 최대)
이는 밸류에이션 재평가 + 실적 개선이 동시에 나타나는 이상적인 강세장 구조라고 설명했다.
✅ 추천 업종 및 최선호 종목
| 전략 업종 | 대표 수혜주 |
|---|---|
| 반도체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 원전/에너지 |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
| 인프라/건설 | 현대건설, 현대로템 |
| 금융 | 한국금융지주 |




